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경영조직론

Deci의 인지평가이론(자기결정 이론 중 하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0. 6. 14.
728x90
반응형

Deci의 인지평가이론(자기결정 이론 중 하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 인지평가이론

 

Ⅰ. 인지평가이론의 의의

인지평가이론은 자기결정이론의 한 분야로서 데시(Deci)가 주장한 이론이다. 데시는 동기부여의 양과 질은 자신의 직무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인지적인 평가과정을 통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Ⅱ. 기본가정

데시는 동기를 유발하는 보상의 내용을 크게 외재적 보상(직무수행의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보상, 급여, 상금, 복지후생 등)과 내재적 보상(성취감, 만족, 도전적 직무수행)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내재적 동기가 동기부여에 더욱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내재적 동기의 결정요인

데시는 구체적으로 내재적 동기(내재적 보상, 성취감, 일 그 자체, 책임감)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역량감과 자기결정감에 의해 결정된다. 전자는 특정한 일을 잘 할 수 있다는 믿음이며, 후자는 직무의 수행을 자기 스스로 결정했다고 믿는 정도이다. 이 두 특성이 많이 충족될수록 내재적 동기가 높아진다.

 

2. 피드백의 유형과 역할

피드백은 두 가지 기능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통제적 기능으로서 업무수행의 독려 내지는 압박을 의미하며 다른 하나는 정보적 기능으로서 역량감의 인정과 칭찬 등을 뜻한다. 피드백이 정보적 기능을 가질 때 내재적 동기가 향상한다.

 

Ⅲ. 주요 연구내용

데시는 벰(Bem)의 귀인이론에 입각하여 정육면체퍼즐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았던 집단(정육면체를 맞추는 즐거움)에 외재적 보상을 투입(금전을 지급)하였더니 오히려 퍼즐을 잘 못 맞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즉, 왜 자신이 열심히 일하는지에 대한 원인을 개인이 인지적으로 평가하는 결과가 그 일의 효율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그래프를 참고하면 내재적 동기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때 외재적 동기가 투입되면 그 동기가 떨어지나 다시 이를 제거한다고 하더라도 내재적 동기에 의한 동기유발의 정도가 다시 회복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Ⅳ. 비판점

1. 인지평가이론의 가장 큰 비판은 보상을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으로 단순히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였다는데 있다. Havard Business school의 Amabile 등은 외재적 보상도 그 종류를 다시 나눌 수 있으며 특정한 종류의 외재적 보상(칭찬, 인정)은 내재적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2. 또 임금이 무조건 외재적 보상이라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목표설정이론을 제시하였던 로크(Locke)에 따르면 GST이론에 따른 동기부여의 정도(18%)보다 임금을 올렸을 때 동기부여 수준(30%)이 더 높다.

 

Ⅴ. 시사점

1. 성과와 연동한 보상이 오히려 종업원의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욕구의 개인차 파악이 중요(맥클랜드, 매슬로우, 알더퍼)

2. 직무의 속성이 내재적 동기부여의 원천이 될 수 있다. JCT이론이나 허쯔버그 2요인이론(직무충실화) > 직무설계(직무확대의 이론적 근거)

 

ps) 직무충실화의 방법

과업결합, 작업단위 형성, 고객관계 확립, 수직적 직무확대, 개방적 피드백 

 = >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에 영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