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경영조직론

근대적 관리론 :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25)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0. 9. 21.
728x90
반응형

근대적 관리론 :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25)

 

<출처 : 제 3 장 경영이론의 발전과정 학과 교수.>

 

Ⅰ. 근대관리론의 등장배경과 특징

근대적 관리론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을 계승하는 한편 경제적 인간관에 지나치게 집중하였다는 단점을 사회적(자연적)인간관의 특징을 도입하여 극복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조직이론이다. 

 

즉, 인간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면과 사회적이고 비합리적인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는 ‘인간 있는 조직(Org with people)’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Ⅱ.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1. 의의

체스터 버나드(Chester I. Barnard)는 1938년 그의 저서인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에서 조직목표와 개인목표간의 상호 균형을 추구하는 소위 협동체계론(협동하는 시스템)을 주장하였다. 이는 조직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조직 전체로서의 협동체계를 확보하는 것)이라는 고찰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조직상층부의 역할은 개인과 조직의 목적을 일치시키는 것이라고 말하며 조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의사소통, 동기부여, 리더십 등의 요소가 중요하다고 하며 공통의 목표를 향한 개인들의 "협력"이라는 개념을 강조했다.

 

2. 조직의 기본 구성요소 (협공커)

1) 동의지(공헌 의욕)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개인이 노력하고자 하는 마음의 상태이자 의지. 개인이 공헌과 조직의 대가가 균형을 이룰 때 형성된다.

 

2) 통의 목적

조직구성원들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공통의 목적. 구성원 자신의 이해관계가 조직 전체의 공동이익을 대표하는 목적을 가질 때 비로소 협력하게 된다.

 

3) 뮤니케이션(의사소통)

협동의지와 공통의 목적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구성원들의 공헌의욕이 높아지기 위해 조직의 목적을 잘 이해하는 동시에 조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보상이 무엇인지 기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이 반드시 요청된다.

 

Ⅲ. 조직의 존속 : 조직균형론

버나드는 조직 균형론을 제시하며 조직의 존속과 성장을 위해서는 개인의 공헌과 조직의 유인 사이에 적절한 균형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즉, 개인은 조직에 자신의 노력, 시간, 능력 등을 제공하고, 조직은 개인에게 급여, 보상, 인정, 만족감 등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유인이 공헌보다 적거나 많으면 조직은 해체되거나 참가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

 

+ 태생적으로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같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일치시킬지 > 두 가지 균형의 유지를 통해서

 

1. 대내적 균형

조직과 구성원 개인의 관계(개인이 조직에 남고자 하는 의사와 조직이 개인을 조직 내에 유지하고자 하는 상태가 서로 균형) / 공헌의 양과 비슷하거나 좀 더 많은 수준의 보상이 주는 것이 중요. 특히, 보상의 가치는 주관적인 것이므로 개인의 욕구에 맞는 보상 즉, 브룸의 기대이론에서 주장하는 보상의 유의성(유인가)를 높일 필요가 있다.

 

2. 대외적 균형

조직과 외부환경고의 관계(조직이 외부에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그에 대한 반대로부터 획득하고 매출과 이익 간의 균형유지)

 

Ⅳ. 권한수용설(권위수용 이론,acceptance theory of authority)

버나드는 권한 수용설을 제시하며 권한은 구성원이 조직의 명령이나 영향력을 진심으로 받아들일 때 비로소 조직의 권한이 성립한다고 말했다. 즉, 권한은 상위자가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하위자가 수용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버나드는 구성원이 명령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1. 명령은 구성원의 역할과 일관되어야 한다.

2. 명령은 구성원의 이익과 부합되어야 한다.

3. 명령이 구성원의 가치와 일치되어야 한다.

4. 명령이 구성원에게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 버나드에 따르면 권한의 근원이 상급자의 지위가 아니라 종업원들의 자발적 수용의사에 있다고 한다.

 

Ⅴ.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근대적 관리론을 대표적인 학자들로 버나드 외에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 제임스 마치(James G. March)는 "제한된 합리성"모델을 중심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이라는 고전전 개념에 도전하는 이론을 주장했다. 사이먼과 마치는 관리자를 포함한 개인이 결정을 내릴 때, 인지적 한계와 불완전한 정보로 인해 제약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즉, 의사결정자는 시간, 정보, 인지적 제약으로 인해 항상 완벽하게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1. 버나드의 이론 계승, 인간의 조직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의사결정과정에 초점. 올슨 등도 이 주장에 동의하여 소위 카네기학파 형성

2. 의사결정론에서 바라보는 인간관은 경제, 사회적이지 않은 관리인 > 제한된 합리성 > 적당히 만족스러운 선택(순차적 대안 탐색-만족화) > 쓰레기통모형으로 연결.

 

https://ryan-jj.tistory.com/298

 

[G1's Point] 의사결정모형 중 쓰레기통 모델(garbage can model)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G1's Point] 의사결정모형 중 쓰레기통 모델(garbage can model)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Ⅰ. 서론 1. 의사결정의 의의 및 중요성 의사결정이란 복수의 대안들 중에서 최적이라 여겨지는 대안을 선택하는

ryan-jj.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