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인적자원관리

[G1's Point] 임금체계 중 연봉제에 대하여 약술하라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1. 5. 11.
728x90
반응형

Q10. 임금체계 중 연봉제에 대하여 약술하라 (10)

 

Ⅰ. 서론

1. 연봉제의 의의

연봉제는 개별 종업원의 임금을 직무수행능력이나 업적 및 공헌도 등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1년 단위로 결정하여 차등지급하는 임금제도를 말한다.

 

2. 연봉제의 도입배경

 1) 세계화와 무한경쟁의 환경 속에서 인건비의 효율적 통제, 동기부여 등을 통한 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2) 업무와 조직인적구성의 다양화로 개인의 능력이나 업적에 상응하는 보상을 더욱 선호하게 되었다.

 3) 복잡한 임금구성항목을 단순화시켜 임금관리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4) 동양적 문화에 입각한 연공제는 고령화시대에 기업의 임금부담을 점차 가중시키고 있다.

 

Ⅱ. 연봉제 특징 (개성통)

1. 과 중심의 변동급

능력과 업적에 기반한 변동급적 속성을 갖는다.

 

2. 별적 임금결정

개인의 인사고과를 통해서 개별근로자의 업무성과에 따라 임금이 차별되는 개인성과급제이므로 단체협약이 아니라 개별협약에 의해 결정된다.

 

3. 합적 관리로 단순화

임금체계상의 각종 수당 및 상여금 등의 복잡한 구성항목을 연봉이라는 항목으로 통합하여 임금관리를 단순화시킨다.

 

Ⅲ. 연봉제의 유형

1. 연봉임금 구성방식

 1) 총액연봉제

이는 기본급, 제 수당, 상여금 등을 하나로 통합해서 임금항목이 연봉 하나로만 구성되어있는 형태로 단일연봉제라고도 한다.

 

 2) 부분연봉제

이는 임금구성이 종래의 생활급적 성격의 월 급여에 해당하는 기본연봉과 업적에 대한 상여금에 해당하는 업적연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2. 연봉임금 인상방식

 1) 누적연봉제(plus-sum)

이는 전년도 임금수준을 최소한 보장하면서, 한 번 인상된 임금액을 다음 임금인상에서 기본임금이 되어 매년 계속 누적되는 제도이다. 개별 종업원의 동기부여는 높지만 임금관리의 유연성이 낮다.

 

 2) 비누적연봉제(zero-sum)

누적연봉제와 다르게 매년 zero-base에서 시작하는 연봉으로 실적이 좋지 않은 사람의 연봉을 실적이 좋은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가감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개별 종업원의 동기부여는 중간정도이지만 임금관리의 유연성이 높다.

 

Ⅳ. 연봉제 도입효과

1. 장점

 1) 종업원의 동기부여와 능력개발을 촉진한다.

 2) 임금을 단일항목으로 구성하여 단순화해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3) 성과급적 요소로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와 유지가 가능하다.

 4) 능력, 업적, 성과와 연관된 효율적 임금관리로 ‘고임금 저인건비’를 실현할 수 있다.

 

2. 단점

 1) 종업원이 단기적 성과에 지나치게 집착해 장기적 측면에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다.

 2) 지나친 경쟁의식의 유발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낮아지고 위화감을 조성해 조직분위기가 저해될 수 있다.

 3) 비누적연봉제를 사용하면 연봉액의 감소로 종업원이 사기가 저하될 수 있다.

 4) 상술한 바와 비슷하게 지식을 중요하게 여기는 지식산업시대에 가시적 성과와 금전적 보상에만 집중하면 조직성과가 낮아질 수 있다.

 

Ⅵ. 효과적인 실시방안

1. 성과지향적인 가치관과 더불어 전문성 강화를 위한 상호경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조직문화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2. 평가시스템을 개선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연봉이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

 

3. 업무 성격에 따라 차등적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개인성과의 파악이 어려운 경우에는 연봉제의 적용이 어렵다.

 

4. 개인의 성과만을 기준으로 연봉을 결정하면 지나친 경쟁의식과 협동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팀의 성과를 동시에 반영하는 연봉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5. 연봉격차의 설정에 있어서 저항을 줄이기 위해 기본연봉의 비중을 업적연봉보다 크게 두면서 서서히 업적연봉의 비중을 늘려나가는 식으로 도입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