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경영조직론

정서적 사건반응이론(AET, Affective Event Theor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0. 4. 15.
728x90
반응형

정서적 사건반응이론(AET, Affective Event Theor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Ⅰ. 정서의 개념과 중요성

정서(affect)란 감정과 어떤 대상(사람, 사물, 사건)에 대하여 느끼는 폭 넓은 범위의 느낌을 총칭하는 용어로 감정과 기분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감정이란 특정한 대상을 원인으로 하는 강렬한 느낌을 말하고, 기분이란 특정한 대상에 대한 것이 아니라 원인이 불분명하고 감정에 비해 그 강도가 낮은 느낌을 말한다. 이는 조직경영의 변수들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원의 변수이기에 관리가 필요하다. 박경규(2014) 와 Robbins&Judge(2016)에 의하면 정서는 에너지를 불어 넣고 행동을 유발하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업무수행을 돕는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정서가 어떻게 조직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한 “정서적 사건반응이론”을 살펴보겠다.

 

Ⅱ. 정서적 사건 반응 이론

1. 의의
정서적 사건반응이론은 직장생활에서 각종 기분과 감정이 어떻게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증한 이론이다. 그 핵심내용은 업무와 관련된 여러 사건(event)들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종업원들의 정서를 유발하고 이때 그들의 성격이나 기분에 의하여 그 반응의 정도가 달라져 종국적으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2. 이론의 구성요소 (작> 업 > 정 > 성과/만족) < 기분과 성격
1) 업환경
이는 구성원들이 매일 매일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요구조건으로 ‘과업다양성, 자율성, 작업의 양, 요구되는 규범과 행동양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무사건
업무사건이란 작업환경을 따라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사건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방해사건(상사의 질타, 벌, 징계, 갈등, 분쟁)과 촉진사건(인정, 칭찬, 사회적 자본, 평화, 협력)이 있다.
 
3) 서적 반응
이는 작업환경의 수행 과정에서 업무사건으로 촉발되는 다양한 정서적 반응으로써 일반적으로 긍정적 반응(기대감, 흥분, 행복)과 부정적 반응(좌절, 분노, 역겨움, 슬픔)이 있다.
 
4) 조절변수 : 기분과 성격
전술한 사건과 정서적 반응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변수인 “성격과 기분”이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감정안정성이 낮은 개인은 업무의 방해 사건을 남들보다 더 예민하게 받아들여 강력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된다.
 
5) 종속변수 : 직무성과, 만족
만약 작업환경과 업무 사건으로부터 도출되는 감정을 잘 관리한다면 이는 직무성과와 개인의 만족으로 이어져 ‘조직시민행동, 학습, 동기부여, 능률향상, 생산성향상, 근로의욕 활성화, QWL’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조직효과성에 기여할 수 있다.
 
3. 이론의 시사점
1) 정서는 구성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 실제로 방해 및 촉진사건에서 구성원의 만족이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인의 정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사소해 보일지 몰라도 정서를 유발하는 각종 사건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비록 작은것들일지라도 나중에 쌓여서 한번에 폭발하게 된다면 조직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Ⅲ. 정서가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채용: 감성지능, 정서전염, ASA이론
2. 협상: 부정적인 정서-단기적협상, 장기적인 관계는 조심, 지양
3. 의사결정: 감정 및 정서에 대한 풍부한 이해(감성지능)는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왜냐하면 감성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1)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2) 감정에 담긴 의도나 의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며 

3)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