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379

[2차기출, 경영지도사] 강화이론의 유형과 강화계획 문제2) 강화이론의 유형과 강화계획에 대해 논술하시오. (30점) - 분량 안나옴 Ⅰ. 서론 1. 강화이론의 의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입각하여 등장한 개념인 강화는 행동이 그를 이끄는 자극의 단순한 후행변수가 아니라 행동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즉, 행동이 그 행동의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함수라고 보는 이론적 관점이며 여기서 강화는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제를 의미한다. 2. 강화이론의 중요성 현재 경영환경은 급변화하며 불확실해졌고, 시장과 산업 간 장벽이 무너지며 경쟁의 극심화 되고 있는 만큼 인적자원이 핵심역량으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직은 개인의 동기부여와 학습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한 강화전략을 수립해서 구성.. 2021. 8. 31.
[2차기출, 경영지도사] 행위기준고과법(BARS)의 의미와 개발절차 문제4) 행동기준고과(BARS)의 의미와 개발절차를 약술하시오. (10점) Ⅰ. 행동기준고과법(BARS) 1. 의의 행동기준 고과법은 추상적인 인성적 특질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인사평가 방법의 비판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실제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는 평정척도법과 주요사건기록법을 혼용하여 평가직무에 직접 적용되는 행동묘사문을 다양한 척도의 수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2. 특징 1) 다양하고 구체적인 직무에 적용이 가능하다. 2) 직무성과와 관련된 지표를 공개하여 피평가자의 업무개선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어떤 행동이 목표달성과 관련이 있는지 인식하게 해 목표관리의 일환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Ⅱ. 개발 절차(개/열범재등/실) 1. 개발위원회 구성 평가자와 피평가자 모두 현업 경험이 풍부하.. 2021. 8. 29.
[2차기출, 경영지도사] 인지부조화의 예와 극복방안 문제3) 인지 부조화의 예와 극복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Ⅰ. 서론 1. 인지부조화의 개념 인지부조화는 개인이 가진 두 가지 이상의 태도 혹은 태도와 감정 사이에서의 불일치를 뜻한다. 페스팅거(Festinger)는 인지부조화이론에서 개인의 복수의 태도/행동 간 불일치를 지각하게 되면 불편한 심리를 갖게 되며, 그 결과 불일치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고 주장한다. 2. 인지부조화의 등장배경 태도-행동 간 인과관계에 있어 전통적인 관점에 의하면 태도가 형성된 뒤 행동이 발생한다. 하지만 사람은 종종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태도를 변경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태도와 행동 간의 일관성과 불일치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했다. Ⅱ. 인지부조화의 예시와 극복방안 1. 인지부조화의 예시 가령 .. 2021. 8. 26.
[2차기출, 경영지도사] 교육평가의 필요성과 커크패트릭의 4단계 평가기준(반학행렬) 문제5) 교육평가의 필요성과 커크패트릭의 4단계 평가기준을 약술하시오. (10점) Ⅰ. 서론 1. 교육훈련 의의 교육훈련은 종업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능력, 태도를 배양시켜 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2. 교육훈련 평가의 필요성 최근 성과주의 인사관리가 정착되면서 교육훈련에서도 성과의 측정과 평가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지식의 습득과 훈련이라는 관점에서만 진행되던 교육훈련이 역량중심, 성과중심의 트렌드와 결부되어 교육훈련도 다른 인사관리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조직효과성에 대한 기여도, 즉 성과의 제대로 된 측정과 평가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교육훈련 평가방법은 거시적접근법, 미시적접근법, 골든스타인의 타당도 평가, 커크패트릭의 평가기준이 있.. 2021.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