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268

하우스의 경로-목표모델(Path-Goal theory)의 핵심내용, 이론의 구체적 상황요인(부하의 특성과 과업환경)을 설명하시오. (25) 하우스의 경로-목표모델(Path-Goal theory)의 핵심내용, 이론의 구체적 상황요인(부하의 특성과 과업환경)을 설명하시오. (25) Ⅰ. 경로-목표이론의 핵심내용 1. 이론의 기본가정 하버드 대학교 교수인 하우스(House, R. J)에 의해 제안된 경로-목표모델은 브룸(Vroom)의 기대이론에 그 이론의 근거를 두고 있다. 기대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작업동기는 노력이 성과로 이어지는 기대(Expectancy), 성과가 보상으로 이어지는 수단성(Instrumentality), 보상에 대한 선호도나 가치의 표현인 유의성(Valence)의 곱함수로 계산된다. 하우스는 리더십이 이러한 기대감(기대, 수단성, 유의성)의 증가에 기여할 때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얻으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2020. 6. 12.
[행정소송법, 심판법 콜라보] 행정쟁송법상 가처분 제도(집행정지 제외) (25~50) [행정소송법, 심판법 콜라보] 행정쟁송법상 가처분 제도(집행정지 제외) (25~50) 행정쟁송법상 가처분 제도(집행정지 제외) Ⅰ. 서설 가처분이란 금전 이외의 특정한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청구권의 집행을 보전하거나 임시의 지위를 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가구제수단을 말한다. 민사집행법 제300조는 가처분으로서 1)계쟁물에 관한 가처분(현상유지 가처분) 2)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임시처분)으로 나누어 인정하고 있는데 행정소송법과 행정심판법에서 각각 어떻게 인정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Ⅱ. 행정소송에서의 가처분 인정여부 1. 문제의 소재 현행 행정소송법은 적극적 처분에 대해 가구제제도로서 집행정지(행정소송법 제23조)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소극적 처분과 부작위에 대하여 민사집행법상의 가처분 .. 2020. 6. 11.
목표관리법의 개념, 이론적 근거, 실행절차, 구성요건 검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50) 목표관리법의 개념, 이론적 근거, 실행절차, 구성요건 검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50) Ⅰ. 목표관리법의 개념과 기본가정 목표관리법(Management by objectives)이란 피터 드러커와 맥그리거에 의하여 제시된 인사평가방법으로써 6개월 또는 1년간의 기간을 정하고 상사와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합의하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목표를 양적, 질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결과지향적 평가방법이다. 목표관리법의 핵심은 상사의 고과지원(support)과 종업원의 고과참여(participation)에 있다. 목표관리법을 통해 권한위임이 일어나며 동기가 부여되고 종업원간 협의로 목표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신뢰성, 타당성, 수용성이 증가할 수 있으나 그 관리에 있어서 실용성이 감소할 수.. 2020. 6. 10.
[개별법] 규약을 위반하여 총회에서 의결한 규약개정의 유효성과 전임자의 업무상재해 (25) [개별법] 규약을 위반하여 총회에서 의결한 규약개정의 유효성과 전임자의 업무상재해 (25) 규약을 위반하여 총회에서 의결한 규약개정의 유효성 1. 문제의 소재 노동조합에서 규약을 통해 대의원회와 총회의 의결사항을 명확히 구분하여 정하고 있는 경우 이를 위반한 의결이 효력이 인정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2. 총회와 대의원회의 의결 노조법 제17조에 의하면 노동조합은 규약으로 대의원회를 둘 수 있고 그 대의원은 조합원의 직접, 비밀, 무기명투표에 의하여 선출되어야 하며 임기는 3년을 초과할 수 없다. 대의원회는 원칙적으로 조합의 규모가 크거나 사실상 전체 조합원이 한 자리에 모이기 어려운 상황일 때 총회에 갈음하여 설치하므로 총회의 의결사항과 대의원회의 의결사항은 같다. 하지만 규약으로 이를 나누어 규정.. 2020.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