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 많은 라이언의 분신들/주식, 나의 주식이란(탄.단.지)

76. 수소차, 예정된 미래가 다가온다!_퇴근길 page2_김세훈, 한병화, 박제영_Ryan’s Review_2020.07.16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0. 7. 20.
728x90
반응형

76. 수소차, 예정된 미래가 다가온다!_퇴근길 page2_김세훈, 한병화, 박제영_Ryan’s Review_2020.07.16

 

1. 현대차의 상승세가 돋보였던 이유는? (f. 한국투자증권 뱅키스 영업부 박제영 차장)

- 모더나로 이번주 증시 분위기가 확 바뀌었는데 유럽쪽에서 개발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모더나 보다 효과가 좋다는) 20일 전/후로 발표 예정.

 

- 20일 한국 수출데이터 발표 예정. 자동차 판매, 반도체, 반도체 장비 수입 3가지가 중요함.

 

- 퀄컴이 삼성전자와 파운드리 거래를 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반도체 장비주들이 코스닥 시장을 견인함.

 

2. 특별 인터뷰 : 신재생에너지 시대에 수소차와 전기차는 함께 간다 (f. 현대자동차 김세훈 전무,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위원)

- 수소 및 전기차는 EU 그린뉴딜 전략, 미국 캘리포니아주 상용차 의무제도 수소차/전기차 및 미국 15개주의 MOU로 이제 테마가 시작된 분야이다.

 

-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은 배터리(적당한 파워와 적당한 에너지 저장), 연료전지(수소만 공급하면 지속해서 에너지 생산 가능), 슈퍼캡(단기적으로 큰 파워 생산 가능)’ 3가지 이다.

 -> 사용 용도나 지역에 따라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들이 융/복합적으로 사용될 것.

 

- 자동차 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수단은 차세대 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할 것이다. 수 많은 수소의 생산이 필요해 보이며 수소생산업체에 대해서도 투자 관점을 집중해 볼 필요가 있음.

- 유럽의 수소전략은 100% 탄소배출 제로 정책인데, 모든 에너지가 신재생에너지로 대체되었을 때 가능한 것. 수소생태계가 자연스럽게 도래할 것이다.

 

- 수소차에서 가장 원가 비중이 큰 것이 연료전지스택이고 그 스택 원가의 43%를 차지하는 MEA(전극막결합체) 국산화도 진행되고 있음.

 

- 2025년 현대차 CAPA 목표 10만대 수준. 아직은 많은 메이저 업체들이 수소/전기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있음.

 

- 전기분해장치 연료전지 가격의 10배 수준(티타늄에 백금을 코팅한 막을 사용하기 때문). 이를 반이나 4분의 1로 낮출 수 있다면 대박이 날 것.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25%가 전기분해장치를 통해 수소가 되어야 하므로 시장이 엄청나게 크다. 연료전지 시장의 4-10배 수준이지만 아직 기술개발은 초기 단계.

 

- 신재생에너지 사회에서 수소사회로 연결될 때 필요한 기술은 a. 연료전지 b. 전기분해장치 c. 담수화 장비

 

- 중국에서 10개 도시를 선정해서 수소 관련 계획을 발표하고 있음. 아직까지는 법이나 제도가 성숙화 되지 않아서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것. But, 중국은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변곡점이 오면 목숨을 걸고 경쟁할 것.

 

- 유럽의 그린수소정책, 재생에너지 확대와 더불어 우리나라 정책의 변화에 지속해서 관심을 두어야 한다.

 

3. 오건영 팀장의 주말 에세이 요약 : 중국 증시의 떨림 이유가 무엇인가?

- 지난 20156월 중순 고점이 나오면 중국증시는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다. 20154월부터 중국 당국에서 강력한 증시 버블에 대한 경고를 했음에도 무시하고 주식 시장을 밀어올린 대가를 치뤘음. 당시 시장 참여자들은 중국 당국의 경고에 더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 만약 지금 상황에서 중국 당국의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면 시장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 중국 당국에서 단기 과열에 대한 경계감을 명확하게 표현했고 시장은 이전의 학습효과로 인해 주춤하는 모습을 보여줌. 물론, 큰 그림에서 중국의 금융시장 개방이 중국 증시에 큰 자극을 줄 것으로 보인다.

 

- 홍남기 경제 부총리가 기준 금리는 부동산시장과 연계해서 생각할 수 있다라고 하면서 저금리 기조에 의한 부동산 버블을 경계했으나 한국은행의 이주열 총재는 금리 문제는 한은의 고유 권한이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음. ->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라고 정부에서 넌지시 얘기했지만 한은이 선을 그은 상황

 -> 정부에서 과잉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부동산 단기 전망은 그리 좋지 않아 보인다. 풍부한 시장유동성을 생산적 부문으로 유도하는 노력을 강조

 

- 미국 금융시장 관련해서는 미국의 10년물 Breakeven 금리가 1.51%까지 크게 뛰어오름. 코로나 사태 이전까지 회복. 시장이 생각하는 물가 상승 정도라고 이해하면 되는데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슈가 부각될 것이다. (코로나 사태의 정점에서는 0.4%까지 내려갔음)

 

<Fed 대차조표상 자산이 하락하다가 잠깐 상승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확진자가 미국 7만명에서 5만 6천명 수준으로 잠깐 내려온 상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