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인적자원관리

연공주의와 능력주의형 승진을 비교하여 약술하시오 (25)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0. 8. 25.
728x90
반응형

연공주의와 능력주의형 승진을 비교하여 약술하시오 (25)

 

Ⅰ. 서설 : INTRO

우리나라의 인사관리는 1997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가히 혁명적으로 변화하였다. 외환위기로 인해 과거 일본의 가족주의적 문화(J문화)가 대중을 이루던 한국사회에서 서구식 성과주의가 도입 되었다. 전자와 관련이 깊은 개념이 바로 연공주의형 승진이고 후자와 관련이 깊은게 능력주의형 승진이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겠다.

 

 

Ⅱ. 연공주의형 승진

1. 개념

이는 개인이 조직에 “공헌한 기간”을 승진과 보상 등의 판단이 기준으로 삼는 원칙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들에서 주로 나타나며, 종업원의 근속연수가 생산성과 비례할 것이라는 “숙련상승설”을 가정으로 한 정책이자 종업원의 생활주기를 고려한 승진방법이다.

 

2. 강화조건

1) 문화적 특징: 동양적, 전통적인사관리

2) 경영외적 요인: 노조세력 강할수록

3) 직종별 요인: 일반직종, 하위층

 

Ⅲ. 능력주의형 승진

1. 개념

이는 연공주의와 다르게 개인의 직무수행역량을 판단 기준으로 보상이나 승진 등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서구 사회에서 주로 나타나며 성과와 업적을 중시하는 정책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2. 강화조건

1) 문화적 특징: 서구적, 현대적 인사관리

2) 경영외적 요인: 노조보다 경영진의 세력이 강할때

3) 직종별 요인: 전문직, 상위층

 

Ⅳ. 승진의사결정자의 자율성 정도

1. 연공주의 하에서의

연공중심주의는 종업원의 직무경험(즉, 연공)을 승진의사결정의 최우선순위로 두기 때문에 ‘동일한 연공의 종업원 가운데 누구를 승진시킬 것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비교적 폭 넓은 재량권이 인정된다. 대신 그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승진결정권자의 자율성을 증가하는 대신 그 결정의 합리성은 감소한다.

 

2. 능력주의 하에서의

능력주의형 승진에서는 종업원이 수행하는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그리고 성과와 업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비교적 객관적인 ‘직무평가결과, 성과’에 의거하여 의사결정을 내린다. 따라서 승진권자의 자율성을 줄어드는 대신 그 결정의 합리성은 역설적(paradox)으로 증가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