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인적자원관리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장애요인, 개선방안 등 (25~50)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0. 11. 9.
728x90
반응형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장애요인, 개선방안 등 (25~50)

 

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 네트워크

 

1) 수레바퀴형

집단 내 특정한 리더 / 리더에 의해 모든 정보 전달 / 리더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양상 / 상황파악과 문제해결 속도 가장 빠르지만 리더 역량 뛰어넘는 문제 발생시 효과성 하락

 

2) 사슬형

공식적인 계통과 수직(수평적)인 경로를 통해서 의사전달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명령과 권한체계가 비교적 명확한 공식적인 조직에서 주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조직 내 라인(line) 간의 의사소통이 이에 해당한다. 단계적으로 전달되어 외형적 합의에 이르는 시간이 적지만, 왜곡발생, 소음발생, 피드백부재, 불만누적, 비효율

 

3) Y형

조직 내 특정한 리더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대표성을 가진 인물이 존재할 때 발생하는 유형으로 흔히 라인과 스탭의 혼합집단에서 ㅂ찾아볼 수 있으며 수직적 네트워크 속성을 가지므로 단순한 문제해결에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가지나 소통과 조율의 조정이 어렵다.

 

4) 원형

위원회 조직이나 태스크(Task)포스조직에서와 같이 권력의 집중이 없고 민주적으로 결성된 집단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으로 뚜렷한 리더가 없고 방향성도 없어 합의나 문제해결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피드백과 제대로된 합의 이후에는 의외로 효율성이 증가한다.

 

5) 완전연결형(개방형)

구성원 전체가 자유의지에 따라 정보를 교환하고 피드백 하는 유형으로 전원이 합의에 도달하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정보가 정확하고 비교적 신속하게 전달되므로 창의적 대안의 도출이 가능하다.

 

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 그레이프바인

이는 조직이나 집단 내에 존재하는 비공식적인 의사소통 경로를의미하는 개념으로서 한 대학의 실증 연구에 의하면 조직 의사소통에서 약 7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구성원들에게 중요한 특정 이슈에 대하여 모호하거나 근심, 걱정을 불러일으킬 말한 요소가 높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그레이프바인의 비중이 높아진다.

 

유형 

1) 충고형(업무상 필요한 정보나 기술)

2) 신뢰형(갈등이나 조직정치와 같은 비밀스럽고 미묘한 사안들)

3) 소통형(공지사항이나 매일매일 일어나는 일상적인 일들을 공식적 경로가 아니라 비공식적 경로로 주고 받는 것)

> 공식적 네트워크에 비해 경로풍부성이 높아 전달되는 정보의 양과 질이 우수하지만, 오해나 왜곡에 의한 루머가 발생할 경우에 이를 억제하기 어려우며 갈등과 조직효과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주요 이슈에 대한 공개적이고 개방적인 소통을 해야 한다. 의사소통의 개방성 정도에 따라 이론적 틀을 제시한 해리 잉그함과 조셉루프트의 조해리의 창을 조직과 개인으로 연결시키면 공개영역(조직도 알고 개인도 아는)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 의사소통 장애요인과 그 개선방안 (추가하면 가점)

 

3. 장애요인

1) 구조적 요인 (계전집)

a. 계층제(위계서열 구조 속에서 여러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당 의사소통의 소음(noise)발생 > 왜곡/단절

b. 전문화(분업을 의미하며 각 소관부서들은 담당 업무의 내용도 다를 뿐만 아니라 일종의 경쟁관계)

c. 집권화(소수의 전문가, 상층부가 많은 또는 의미 있는 정보들을 독점하기 때문에)

 

2) 과정적 요인 

a. 필터링(수신자가 더욱 유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달자가 의도적으로 불리한 정보를 누락하는 것)

b. 정보과중(자신의 능력을 초과하는 과중한 정보가 주어질 때 이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잊어버리는 경향)

c. 정서(긍정/부정적 정서에 따라서), 언어(약어나 속어 때문에), 침묵(억압하는 환경 때문에 소수의견 발언x), 거짓말(실수를 은폐하거나 좋은 인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d. 선택적 지각(자신이 마음에 드는 정보들, 처음에 받아들인 정보들, 자극이 큰 정보들만)

 

4. 개선방안

1) 구성원 측면: 동료 간 소통, 상급자와 소통

2) 관리자 측면: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적극적 경청

3) 소통 수단의 공개화 공식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