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경영조직론

[2차기출, 경영지도사] 자기결정(성)이론 개념과 내재적 보상, 외지잭 보상의 상호관계 및 시사점

by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2. 5. 5.
728x90
반응형

【 문제 4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의 개념과 이 이론에서 주장 하는 내재적 보상(intrinsic rewards)과 외재적 보상(extrinsic rewards)의 상호관계, 시사점을 각각 설명하시오. (10점)

 

Ⅰ. 자기결정이론의 개념

1. 의의

자기결정이론이란 업무수행에 있어서 본인의 결정권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가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관점으로서 개인 스스로 결정하여 진행하는 일의 경우가 성취에 더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PS) 자기결정성 이론(自起決定性理論, 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은 에드워드 데시(Edward Deci, 1942년~)와 리차드 라이언(Richard Ryan, 1953년~)이 1975년 개인들이 어떤 활동을 내재적인 이유와 외재적인 이유에 의해 참여하게 되었을 때 발생하는 결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남을 바탕으로 수립한 이론을 일컫는다.

 

2. 기본가정

자기결정이론에서는 특정한 동기부여의 효과가 내재적, 외재적보상인지에 따라 단편적으로 정해진다고 보지 않았다. 보다 중요한 것은 개인이 주어진 임무를 스스로 좋아서 수행한다고 생각하게 되는지의 여부이다. 스스로가 자신의 업무의 주체로서 통제력이 있다고 믿으면 외재적보상만 주어진다 해도 동기부여에 도움이 된다.

 

Ⅱ.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

1. 의의

내재적 보상은 스스로 하는 일에 대해서 느끼는 만족감과 성취감을 의미한다. 주로 종업원과 직무의 직접적 관계에서 비롯된다. 외재적보상은 종업원의 내면이 아니라 외부, 특히 직무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일반적으로 보상으로 주어지는 급여나 포상금 등이 있다.

 

2. 상호관계

1) 내재적 보상이 존재할 때 외재적 보상이 개입하면 내재적 보상의 동기부여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2) 비금전적인 외재적보상은(칭찬,격려) 때로 내재적 보상으로 인한 동기부여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조직의 목표와 내재적 보상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도 종업원의 만족감이나 행복감은 떨어지지 않는다. 반면 목표달성을 하여도 목표와 보상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만족감이나 행복감은 떨어질 수 있다.

 

Ⅲ. 시사점

이는 성과와 연동한 보상이 오히려 종업원의 동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보상정책의 설계 시 종업원의 욕구구조와 업무의 속성을 다각도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