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상임금7

[2차기출, 경영지도사]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의 취지, 방법, 효과 【 문제 6 】 근로기준법 제60조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의 취지, 방법, 효과에 관하여 각각 설명 하시오. (10점) Ⅰ. 연차유급휴가의 의의 및 취지 1. 내용 연차유급휴가란 1년간 계속 근로한 근로자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유급으로 근로의무가 면제되는 날을 의미한다. 이는 근로자의 정신적, 육체적 휴양을 제공하고 노동재생산을 위한 충전 및 문화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2. 시기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부여해야 한다. 이를 근로자의 ‘시기지정권’이라 한다. 다만, 사업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는데 이를 ‘시기변경권’이라 한다. 3. 내용 1) 1년 미만의 근로자 or 연간 80%미만의 근로자 - 1개월 개근 시 1일 유급휴가 2) 1년간 80%이.. 2022. 11. 30.
[2차기출, 경영지도사] 통상임금의 의의와 구별기준 및 적용되는 보상항목 문제2) 통상임금의 의의와 구별기준 및 적용되는 보상항목은 무엇인지 논술하시오. (30점) Ⅰ. 서 1. 통상임금의 의의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 금액이다. 2. 기초임금으로서의 통상임금 통상임금은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지급, 해고예고수당, 주휴수당 등의 기초임금이 된다. 3. 서술전개방향 이하에서는 통상임금의 구별기준 및 적용 보상항목을 살피고 결과적으로 정기상여금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통상임금의 구별기준 1. 문제의 소재 통상임금의 정의는 근로기준법의 근거 없이 시행령 차원(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6조 제 1항)의 규정으로 법적 효력에 대한 논란이 있고 추상적.. 2021. 9. 14.
[개별법] 통상임금, A급 쟁점 고정성, 일률성, 정기성을 근거로 하는 판단법리 (50) [개별법] 통상임금, A급 쟁점 고정성, 일률성, 정기성을 근거로 하는 판단법리 (50) Ⅰ. 논점의 정리 본 설문 A회사와 B노동조합이 체결한 단체협약 제15조 상여금과 체35조 체력단련비, 제55조 정근수당이 통상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는바 1)통상임금의 정의와 규정을 살펴보고 2)이를 판단하는 기준을 검토한 뒤에 3)전술한 임금들이 해당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겠다. Ⅱ. 통상임금의 의의와 산정 1. 법규정 통상임금이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1항에서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해진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금액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통상임금은 연장근로나 휴일근로의 가산수당, 육아휴직휴가의 수당, 연차휴가의.. 2020.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