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379

근대적 관리론 :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25) 근대적 관리론 :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25) Ⅰ. 근대관리론의 등장배경과 특징 근대적 관리론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을 계승하는 한편 경제적 인간관에 지나치게 집중하였다는 단점을 사회적(자연적)인간관의 특징을 도입하여 극복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조직이론이다. 즉, 인간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면과 사회적이고 비합리적인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는 ‘인간 있는 조직(Org with people)’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Ⅱ.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1. 의의 체스터 버나드(Chester I. Barnard)는 1938년 그의 저서인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에서 조직목표와 개인목표간의 상호 균형을 추구하는 소위 협동체계론(협동하는.. 2020. 9. 21.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코칭 등 조직사회화 기법들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5~50)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코칭 등 조직사회화 기법들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5~50) Ⅰ. 조직사회화의 의의와 필요성 조직사회화란 한 개인이 조직에 소속되면서 그 조직의 과업관련 규범, 가치, 생활양식, 조직문화 등을 습득해나가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경력사원도 처음 입사하게 되면 시행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필요성에 의해 실시된다. 1) 진입충격 완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현실과의 괴리에서 오는 충격완화 2) 조직정체성 유도 > 적극적 업무촉진: 개인-조직 적합성을 높여 충성 몰입 3) 심리적 계약 공고화 > 조직효과성 향상: 자신의 공헌에 상응하여 무엇을 대가로 받을 수 있을 것인지 예상하는 일종의 믿음으로서 사회적 교환관계, 경제적 계약과 다름 4) 조기이직 감소로 인.. 2020. 9. 14.
[G1's Point]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사용자 노동조합법 상 근로자, 사용자의 개념을 설명 Q10.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사용자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사용자를 설명하시오.[G1's Point]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사용자 노동조합법 상 근로자, 사용자의 개념을 설명 Ⅰ.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1. 의의 헌법 제32조 3항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에 수권을 받은 근로기준법은 근로자를 ‘근로자라 함은 직업의 종류에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 중요성 근로자 개념의 정의는 근로기준법의 보호대상의 범위를 획정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동 규정은, ‘최저임금법’, ‘산업안전보건법’,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등에서 준용되고 있는바 중요하다. 3. 노조법 근로자와 비교 노조.. 2020. 9. 13.
동기부여이론과 내용이론, 과정이론의 분류 동기부여이론과 내용이론, 과정이론의 분류 동기부여란 사람의 행동이 드러나게 되는 심리적 이유나 상태 조직적 차원에서 부여하는 것으로 핀더(Pinder)에 따르면 이는 강도(개인이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는지)와 지속성(그 노력을 얼마나 오랫동안 하는지) 그리고 방향성(노력의 초점이 특정 목적을 띠는지)으로 이루어진다. 무엇이 동기를 부여하는지에 대하여 연구한 내용이론과 동기부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그 과정을 연구한 과정이론으로 대별된다. 1. 내용이론 a. 매슬로우 욕구단계이론 b. 알더퍼의 ERG이론 c. 맥클랜드의 성취동기이론 d. 맥그리거X-Y이론 e. 해크만 올드햄의 직무특성이론 f. 허쯔버그의 2요인이론 2. 과정이론 a. 브룸의 기대이론 b.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c. 포터-로울러의 수정기대이론 d.. 2020.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