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268

터크만(Tuckman)과 게르식(Gersick) 의 집단형성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터크만(Tuckman)과 게르식(Gersick) 의 집단형성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 1. 터크만(Tuckman)의 집단형성 5단계 모형(안정/ 장기적) 터크만은 집단의 발전과정은 안정적이고 일반적인 환경 하에서 5단계를 거친다고 하였다. 이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존속하는 집단의 발달과정을 설명하는데 적합하다. 1) 형성기(Forming) 상당한 불확실성 하에서 서로 조금씩 알아가는 단계로 구체적인 과업이나 역할분배, 조직구조가 설계되지 않아서 업무수행에는 돌입하지 못하는 단계이다. 2) 격동기(혼동기, Storming) 어느 정도 상위의 목표와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합의는 이루어졌지만 구체적인 역할배분, 집단의 구조와, 계층구조에 대한 갈등과 대립이 나타나는 시기로 갈등의 순기능이 발현된다면.. 2020. 7. 22.
[행정소송법] 집행정지의 의의와 요건, 실무에서의 집행정지와 거부처분에 대한 인정여부 (50) 집행정지의 요건 등[행정소송법] 집행정지의 의의와 요건, 실무에서의 집행정지와 거부처분에 대한 인정여부 (50) Ⅰ. 집행정지의 의의 행정소송법 제23조 제2항에 따르면 집행정지란 취소소송이 제기된 경우 처분 등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으로 인하여 생길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본안이 계속되고 있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하여 처분 등의 효력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의 전분 또는 일부의 정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동조 제1항에 따라서 취소소송의 제기에 따라 집행이 정지되지 않는 “집행부정지원칙”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규정이다. 구체적으로 집행정지는 적극적요건과 소극적요건으로 구분하여 그 요건을 설명할 .. 2020. 7. 21.
임금의 공정성과 임금 수준의 관리 (25~50), 2017 공인노무사 기출문항 임금의 공정성과 임금 수준의 관리 (25~50), 2017 공인노무사 기출문항 임금의 공정성 + 정의(justice)와 함께 연계하여 공부, 2017 경영지도사 기출 결과적 공정성(?)은 필히 찾아보시기를 바람 1. 대내적 공정성 종업원들이 동일한 조직 내의 같은 직무 또는 다른 직무에 종사하는 종업원들과 비교를 통한 공정성의 지각수준을 말한다. 이는 개인적 공정성과 조직적 공정성으로 나뉜다. 1) 개인적 공정성 이는 동일조직 내에서 동일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종업원들 간의 연공, 능력, 직무, 역량 간의 차이로 발생하는 임금격차에 의해 지각된 공정성이다. 개인적 공정성은 특히 개인의 동기부여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조직적 공정성 이는 동일조직 내에서 상이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종업원들 간의 임금.. 2020. 7. 20.
[개별법] 통상임금, A급 쟁점 고정성, 일률성, 정기성을 근거로 하는 판단법리 (50) [개별법] 통상임금, A급 쟁점 고정성, 일률성, 정기성을 근거로 하는 판단법리 (50) Ⅰ. 논점의 정리 본 설문 A회사와 B노동조합이 체결한 단체협약 제15조 상여금과 체35조 체력단련비, 제55조 정근수당이 통상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되는바 1)통상임금의 정의와 규정을 살펴보고 2)이를 판단하는 기준을 검토한 뒤에 3)전술한 임금들이 해당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겠다. Ⅱ. 통상임금의 의의와 산정 1. 법규정 통상임금이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1항에서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해진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금액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통상임금은 연장근로나 휴일근로의 가산수당, 육아휴직휴가의 수당, 연차휴가의.. 2020.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