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노동법(개별법)36 [G1's Point] 간주근로시간제 설명하시오 (재량근로시간제, 인정근로시간제) [G1's Point] 간주근로시간제 설명하시오 (재량근로시간제, 인정근로시간제) Ⅰ. 서 근로시간 규정 및 취지 근로기준법 제 50조에서는 근로시간을 1일 8시간, 1주 40시간으로 규정하고 이를 강제하고 있다. 이는 근로자의 신체, 정신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취지이다. 2. 간주근로 시간제 취지 하나 근무형태가 다양화되면서 기존 방법으로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렵거나, 근로시간보다 근로의 성과가 더 중요한 전문직의 경우 동 규정이 적절치 않은 바, 동법 제 58조에서 인정근로시간제와 재량근로시간제를 인정하고 있다. Ⅱ. 인정근로시간제 1 의의 근로자가 출장 또는 그 밖의 그 사유로 근로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하여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는 제도이.. 2020. 9. 22. [G1's Point]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사용자 노동조합법 상 근로자, 사용자의 개념을 설명 Q10.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사용자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사용자를 설명하시오.[G1's Point]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사용자 노동조합법 상 근로자, 사용자의 개념을 설명 Ⅰ.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1. 의의 헌법 제32조 3항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에 수권을 받은 근로기준법은 근로자를 ‘근로자라 함은 직업의 종류에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 중요성 근로자 개념의 정의는 근로기준법의 보호대상의 범위를 획정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동 규정은, ‘최저임금법’, ‘산업안전보건법’,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등에서 준용되고 있는바 중요하다. 3. 노조법 근로자와 비교 노조.. 2020. 9. 13.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외국인, 임원, 소사장, 노동관행 판단기준, 불리한 단체협약 변경 등 (25~50)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 외국인, 임원, 소사장, 노동관행 판단기준, 불리한 단체협약 변경 등 (25~50) Ⅰ. 논점의 정리 본 설문 A학원 근로자 갑은 강의용역제공계약이라는 근로계약이 아닌 듯 한 이름의 계약으로 10년 동안 근로를 제공해왔다.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근로자의 개념에 비추어 보아 근로자 갑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여 그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설문에 제시된 표지와 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Ⅱ.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의 개념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1호에서는 근로자의 개념을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라고 규정하고 있다. 근로계약의 형식이나 종류와 상관없이 근로를 제공해야하며 사업 또는 사업장이 아.. 2020. 9. 7.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확장: 묵시적 계약법리 (50)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확장: 묵시적 계약법리근로기준법상 사용자 확장: 묵시적 계약법리 (50) Ⅰ. 논점의 정리 설문에서 갑은 사내 하청업체인 B기업에 고용되어 근로를 제공해오다가 최근 B기업 폐업과 함께 A기업을 상대로 종업원지휘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다. 원칙적으로 근로자 갑은 B기업이 원고용주로서 근로계약의 상대방이고 A기업은 단지 제3자일뿐인데 이를 인정할 수 있는지와 관하여 1)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의 개념을 살펴보고 2) 묵시적근로계약법리를 근거하여 3) A기업이 근로자 갑의 사용자가 되는지를 서술하겠다. Ⅱ.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2호에서는 사용자의 개념을 ’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그 밖에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자‘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근.. 2020. 8. 24.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