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379

목표관리법의 개념, 이론적 근거, 실행절차, 구성요건 검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50) 목표관리법의 개념, 이론적 근거, 실행절차, 구성요건 검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5~50) Ⅰ. 목표관리법의 개념과 기본가정 목표관리법(Management by objectives)이란 피터 드러커와 맥그리거에 의하여 제시된 인사평가방법으로써 6개월 또는 1년간의 기간을 정하고 상사와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합의하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목표를 양적, 질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결과지향적 평가방법이다. 목표관리법의 핵심은 상사의 고과지원(support)과 종업원의 고과참여(participation)에 있다. 목표관리법을 통해 권한위임이 일어나며 동기가 부여되고 종업원간 협의로 목표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신뢰성, 타당성, 수용성이 증가할 수 있으나 그 관리에 있어서 실용성이 감소할 수.. 2020. 6. 10.
[개별법] 규약을 위반하여 총회에서 의결한 규약개정의 유효성과 전임자의 업무상재해 (25) [개별법] 규약을 위반하여 총회에서 의결한 규약개정의 유효성과 전임자의 업무상재해 (25) 규약을 위반하여 총회에서 의결한 규약개정의 유효성 1. 문제의 소재 노동조합에서 규약을 통해 대의원회와 총회의 의결사항을 명확히 구분하여 정하고 있는 경우 이를 위반한 의결이 효력이 인정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2. 총회와 대의원회의 의결 노조법 제17조에 의하면 노동조합은 규약으로 대의원회를 둘 수 있고 그 대의원은 조합원의 직접, 비밀, 무기명투표에 의하여 선출되어야 하며 임기는 3년을 초과할 수 없다. 대의원회는 원칙적으로 조합의 규모가 크거나 사실상 전체 조합원이 한 자리에 모이기 어려운 상황일 때 총회에 갈음하여 설치하므로 총회의 의결사항과 대의원회의 의결사항은 같다. 하지만 규약으로 이를 나누어 규정.. 2020. 6. 8.
집단의사결정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의사결정기법을 최소한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설명하시오(2004 행정고시,25점) 집단의사결정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의사결정기법을 최소한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설명하시오(2004 행정고시,25점) Ⅰ. 집단의사결정의 개념과 문제점 1. 개념 집단 의사결정(group decision making)이란 기업 내에 중요한 이슈나 쟁점에 대하여 다수의 구성원들의 역량과 견해를 반영하여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말한다. 집단의사결정은 1) 개인에 독단적 결정에 비해 많은 정보를 참고로 하기 때문에 완벽에 가까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실수 가능성이 적다. 2) 사고의 다양성 덕분에 미처 혼자서는 생각하지 못한 이슈에 대한 고찰이 가능하다. 3) 여러 사람들이 최종 결론을 내는데 참여하기 때문에 그 의사결정 결과에 대한 수용성이 높아진다. 2... 2020. 6. 4.
[행정소송법] 행정소송법이 명문으로 인정하는 소의 변경(21, 22,37, 42)에 대하여 서술 (25) [행정소송법] 행정소송법이 명문으로 인정하는 소의 변경(21, 22,37, 42)에 대하여 서술 (25) 행정소송법이 명문으로 인정하는 소의 변경 (21, 22,37, 42) Ⅰ. 서설 행정소송법은 소의 변경에 대해 소의 종류의 변경 행정소송법 제21조 제37조 제42조와 처분 변경으로 인한 소의 변경 동법 제 22조를 규정하고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각각 살펴보고 자한다. Ⅱ. 소의 종류의 변경 1. 의의 및 취지 행정소송법 제21조 제37조 제42조에서는 국민이 행정소송의 종류를 잘못 선택한 경우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소의 변경을 허용하고 있다. 이는 1) 소의 종류의 변경 등으로 제소기간의 도과 등의 피해를 방지하고 2) 전소에서 사용하였던 소송자료를 새로운 소송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2020.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