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379 현대기업의 선발도구로서 면접의 개념, 질문의 주요내용, 면접관 주의사항 (25점) 현대기업의 선발도구로서 면접의 개념, 질문의 주요내용, 면접관 주의사항 (25점) Ⅰ. 서설 : 면접의 중요성 증가 글로벌 세계의 저성장 기조와 기술혁신주기의 감소로 인한 기업경쟁 격화 그리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산업 간 지역 간 경계가 무너지면서 기업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다. 왜냐하면 펜로즈에서 출발하여 바니가 정립한 자원기반관점(RBV)에 의하면 인적자원이야 말로 경쟁기업과 차별화되는 경쟁우위 창출의 자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발에 있어 그 미래 성과를 예측하는 ”예측타당성“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현재 기업들은 기업 내의 고성과자의 성과측정치로 종업원들을 선발하여 ”동시타당성“을 높이는데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Hunter와 Schmidt의 Meta-analysis에 따르.. 2020. 6. 22. [개별법] 근로기준법 제24조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A급 쟁점, 이른바 정리해고 (50) [개별법] 근로기준법 제24조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A급 쟁점, 이른바 정리해고 (50)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24조) Ⅰ. 논점의 정리 설문에서 A은행은 누적된 적자로 B은행과 합병계약을 체결하고 C은행이 된 이후로도 계속적으로 적자가 누적되었다. 따라서 통폐합 등 여러 가지 조치에도 상황이 개선되지 않자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이하 ’정리해고‘라 한다)를 실시하려는 바 근로기준법 제2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건 1)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2)해고회피노력 3)합리적이고 공정한 대상자 선정 4)50일전의 협의를 중심으로 판례법리를 검토하여 정당성 여부를 서술하겠다. Ⅱ.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는지 여부 1. 문제의 소재 근로기준법 제 24조 제1항에서는 사용자가 경영상의 이유에 의해 근로자.. 2020. 6. 21. 자기결정이론의 의의와 동기부여 과정에대하여 설명하시오 (25) 자기결정이론의 의의와 동기부여 과정에대하여 설명하시오 (25) 자기결정이론의 의의와 동기부여 과정 / Deci의 인지평가이론은 자기결정이론에에 속함 Ⅰ. 자기결정이론의 의의와 가정 1. 의의 자기결정이론이란 ‘업무수행에 있어서 본인의 결정권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가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이다. 개인이 스스로 결정하여 진행하는 일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취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이다. 즉, 특정한 자극(ex.성과급)이 자신의 행위를 통제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라면 그에 대한 흥미나 몰입이 줄어들지만 자신이 통제하고 일을 잘 해냈기에 주어지는 것이라고 인지하면 더욱 더 몰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기본가정 자기결정이론에서는 특정한 동기부여 정책의 효과가 내재적 보상(도전적 업무수.. 2020. 6. 19. [행정소송법] 처분명령재결 시 소의 대상 등, 위원회의 피고적격 (25~50) [행정소송법] 처분명령재결 시 소의 대상 등, 위원회의 피고적격 (25~50) 처분명령재결 시 소의 대상 등 Ⅰ. 논점의 정리 갑은 A시에서 인터넷 광고를 하였고 의료법 위반으로 3개월 업무정지처분을 받았으며 후에 행정심판을 청구하여 500만원 부과 처분으로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재결을 받았다. A시장은 이에 따라 처분을 하였고 갑은 이에 대하여도 취소소송을 제기하고자 하는바 1) 소송의 대상이 최초의 3개월 업무정지 처분인지, 변경명령재결인지, 재결에 따른 처분인지가 문제가 되고 2) 그에 따라 제소기간과 피고가 달라지는 것이 소제기의 적법성에 관련한 본 사안에 쟁점이라 볼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 검토하겠다. Ⅱ. 대상적격 1. 문제의 소재 본 사안에서는 소위 행정청의 처분 등으로 볼 수 있는 것이 1.. 2020. 6. 17.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