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268

[G1's Point] 금품청산의 의무 [G1's Point] 금품청산의 의무 Ⅰ. 서 의의 및 취지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 등에 의해 근로관계가 종료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이를 금품청산의 의무라고 한다. 동조 규정은 사망, 퇴직 등에 따라 생활이 어렵게 될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계확보 및 금품청산 지연에 따른 분쟁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인정된 제도이다. 서술전개방향 블라블라 Ⅱ. 금품청산의 사유 근로관계의 종료 근로자의 사직, 합의, 해지, 해고 등 사안을 불문하고 근로관계가 종료된 때에 금품청산의 의무가 생긴다. 근로자의 사망 근로자가 사망한 때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근로계약이 당연히 소멸되고 이로 인한 금품청산의 의무가 발생한다. .. 2020. 12. 6.
상황이론에 대하여 대표적인 학자들이 주장한 이론 (50) 상황이론에 대하여 대표적인 학자들이 주장한 이론 (50) Ⅰ. 상황이론의 의의와 주요변수 상황이론이란 모든 조직에 보편타당하게 적용되는 원칙이나 설계기법을 찾기보다는 해당 조직이 처한 상황에 맞게 조직구조를 설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는 버틀란피가 주창한 시스템이론의 연장선으로서 조직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상황변수의 역할에 주목한다. 대표적인 상황변수로는 객관적 변수인 환경, 기술, 규모와 주관적 상황변수인 권력과 전략이 있다. 상황이론은 기본적으로 ‘조직특성변수와 상황변수의 적합성이 조직효과성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Ⅱ. 환경 개방시스템으로서 조직이 상호작용하는 주된 대상으로, 조직의 과업수행에 영향을 주지만 조직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단체 및 세력과 그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1. 번즈와 스토커.. 2020. 11. 12.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장애요인, 개선방안 등 (25~50)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장애요인, 개선방안 등 (25~50) 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 네트워크 1) 수레바퀴형 집단 내 특정한 리더 / 리더에 의해 모든 정보 전달 / 리더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양상 / 상황파악과 문제해결 속도 가장 빠르지만 리더 역량 뛰어넘는 문제 발생시 효과성 하락 2) 사슬형 공식적인 계통과 수직(수평적)인 경로를 통해서 의사전달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명령과 권한체계가 비교적 명확한 공식적인 조직에서 주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조직 내 라인(line) 간의 의사소통이 이에 해당한다. 단계적으로 전달되어 외형적 합의에 이르는 시간이 적지만, 왜곡발생, 소음발생, 피드백부재, 불만누적, 비효율 3) Y형 조직 내 특정한 리더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대표성을 가진 인물이 .. 2020. 11. 9.
[G1's Point] 근로기준법상 모성보호를 위한 특별보호 서술 [G1's Point] 근로기준법상 모성보호를 위한 특별보호 서술 Ⅰ. 서 여성근로자 보호의 법적 근거 여성근로자 보호의 근거는 헌법 제 32조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보호’, 동법 제 36조 ‘모성보호 규정’이며, 이를 구체화 한 법으로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 있다. 최근 남녀평등 보장제도의 변화 추세 그간 여성근로자에 대한 보호는 여성의 신체적 차이로 인한 획일적 규제에 집중하였으나, 최근에는 모성보호, 남녀평등 보장 이라는 최소한의 규제로 그 중심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기술혁신, 근무환경의 개선으로 신체의 차이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서술전개방향 최근 여성과 연소자도 취업 가능한 분야가 증가되어 왔고 실제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2020.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