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268

[G1's Point] 간주근로시간제 설명하시오 (재량근로시간제, 인정근로시간제) [G1's Point] 간주근로시간제 설명하시오 (재량근로시간제, 인정근로시간제) Ⅰ. 서 근로시간 규정 및 취지 근로기준법 제 50조에서는 근로시간을 1일 8시간, 1주 40시간으로 규정하고 이를 강제하고 있다. 이는 근로자의 신체, 정신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취지이다. 2. 간주근로 시간제 취지 하나 근무형태가 다양화되면서 기존 방법으로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렵거나, 근로시간보다 근로의 성과가 더 중요한 전문직의 경우 동 규정이 적절치 않은 바, 동법 제 58조에서 인정근로시간제와 재량근로시간제를 인정하고 있다. Ⅱ. 인정근로시간제 1 의의 근로자가 출장 또는 그 밖의 그 사유로 근로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하여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는 제도이.. 2020. 9. 22.
근대적 관리론 :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25) 근대적 관리론 :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싸이먼과 마치의 의사결정론 (25) Ⅰ. 근대관리론의 등장배경과 특징 근대적 관리론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을 계승하는 한편 경제적 인간관에 지나치게 집중하였다는 단점을 사회적(자연적)인간관의 특징을 도입하여 극복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조직이론이다. 즉, 인간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면과 사회적이고 비합리적인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는 ‘인간 있는 조직(Org with people)’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Ⅱ. 버나드의 협동체계론 1. 의의 체스터 버나드(Chester I. Barnard)는 1938년 그의 저서인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에서 조직목표와 개인목표간의 상호 균형을 추구하는 소위 협동체계론(협동하는.. 2020. 9. 21.
행정심판법상 가구제수단 (재결 전) 행정심판법상 가구제 수단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재결 전, 재결 후에는 위원회의 직접처분이라는 재결의 실효성확보수단 50조) Ⅰ. 서설 행정심판법은 재결이 내리지기 이전에 행정심판법에 의한 잠정적인 구제를 위하여 적극적 처분에 대한 소극적 가구제 수단인 집행정지(행심 30조)와 소극적 처분에 대한 적극적 구제수단인 임시처분(행심 31조)를 법문에서 규정하고 있다. 행정소송법에서는 적극적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만을 규정하고 있어 임시처분은 행정소송과 행정심판의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가 된다. 이하에서 행정심판법의 가구제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Ⅱ. 소극적 구제수단으로서의 집행정지 1. 의의 위원회는 처분, 처분의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에 의하여 중대한 손해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필요성이 긴급하다고 인정할.. 2020. 9. 18.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코칭 등 조직사회화 기법들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5~50) 멘토링, 오리엔테이션, 코칭 등 조직사회화 기법들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5~50) Ⅰ. 조직사회화의 의의와 필요성 조직사회화란 한 개인이 조직에 소속되면서 그 조직의 과업관련 규범, 가치, 생활양식, 조직문화 등을 습득해나가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경력사원도 처음 입사하게 되면 시행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필요성에 의해 실시된다. 1) 진입충격 완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현실과의 괴리에서 오는 충격완화 2) 조직정체성 유도 > 적극적 업무촉진: 개인-조직 적합성을 높여 충성 몰입 3) 심리적 계약 공고화 > 조직효과성 향상: 자신의 공헌에 상응하여 무엇을 대가로 받을 수 있을 것인지 예상하는 일종의 믿음으로서 사회적 교환관계, 경제적 계약과 다름 4) 조기이직 감소로 인.. 2020.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