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관리67

[2차기출, 경영지도사] 통상임금의 의의와 구별기준 및 적용되는 보상항목 문제2) 통상임금의 의의와 구별기준 및 적용되는 보상항목은 무엇인지 논술하시오. (30점) Ⅰ. 서 1. 통상임금의 의의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 금액이다. 2. 기초임금으로서의 통상임금 통상임금은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지급, 해고예고수당, 주휴수당 등의 기초임금이 된다. 3. 서술전개방향 이하에서는 통상임금의 구별기준 및 적용 보상항목을 살피고 결과적으로 정기상여금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통상임금의 구별기준 1. 문제의 소재 통상임금의 정의는 근로기준법의 근거 없이 시행령 차원(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6조 제 1항)의 규정으로 법적 효력에 대한 논란이 있고 추상적.. 2021. 9. 14.
[2차기출, 경영지도사] 직무공유제(Job sharing)제도, 직무분할제도(Job분할제도)의 의미와 효과 문제3) 직무공유제(Job sharing) 제도, 직무분할(job 분할제도)의 의미와 효과에 관하여 약술하시오. (10점) Ⅰ. 서론 1. 직무공유제 의의 및 특징 직무공유제(job sharing, 직무분할제도)는 하나의 정규(full-time)업무를 둘 이상의 파트타임(part-time) 업무로 전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근로자가 직무에 대해 동등한 책임을 지는 수평적 분할로, 복수의 근로자가 하나의 직무를 공유하게 됨을 의미한다. 직무공유제를 통해서 하나의 직무를 두 사람 이상이 담당하게 되므로 내용범위뿐만 아니라 시간도 다양하게 구분되며 각각의 근로자는 정규직근로자로서의 대우를 받는다. 2. 도입목적 1) 기업 측면 일자리나누기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인력활용의 유연성 제고하며.. 2021. 9. 2.
[2차기출, 경영지도사] 행위기준고과법(BARS)의 의미와 개발절차 문제4) 행동기준고과(BARS)의 의미와 개발절차를 약술하시오. (10점) Ⅰ. 행동기준고과법(BARS) 1. 의의 행동기준 고과법은 추상적인 인성적 특질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인사평가 방법의 비판에 기초하여 피평가자의 실제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는 평정척도법과 주요사건기록법을 혼용하여 평가직무에 직접 적용되는 행동묘사문을 다양한 척도의 수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2. 특징 1) 다양하고 구체적인 직무에 적용이 가능하다. 2) 직무성과와 관련된 지표를 공개하여 피평가자의 업무개선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어떤 행동이 목표달성과 관련이 있는지 인식하게 해 목표관리의 일환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Ⅱ. 개발 절차(개/열범재등/실) 1. 개발위원회 구성 평가자와 피평가자 모두 현업 경험이 풍부하.. 2021. 8. 29.
[2차기출, 경영지도사] 교육평가의 필요성과 커크패트릭의 4단계 평가기준(반학행렬) 문제5) 교육평가의 필요성과 커크패트릭의 4단계 평가기준을 약술하시오. (10점) Ⅰ. 서론 1. 교육훈련 의의 교육훈련은 종업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능력, 태도를 배양시켜 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2. 교육훈련 평가의 필요성 최근 성과주의 인사관리가 정착되면서 교육훈련에서도 성과의 측정과 평가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지식의 습득과 훈련이라는 관점에서만 진행되던 교육훈련이 역량중심, 성과중심의 트렌드와 결부되어 교육훈련도 다른 인사관리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조직효과성에 대한 기여도, 즉 성과의 제대로 된 측정과 평가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교육훈련 평가방법은 거시적접근법, 미시적접근법, 골든스타인의 타당도 평가, 커크패트릭의 평가기준이 있.. 2021.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