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노무사(CPLA), 경영지도사/경영조직론96

[2차기출, 경영지도사] 켈리의 귀인이론, 내적귀인과 외적귀인의 의의와 귀인오류 등 문제1) 켈리(Kelly)의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의 의의, 내적 귀인과 외적 귀인의 의의, 언제 귀인이 일어나는지와 귀인 오류에 대해 논술하시오. (30점) Ⅰ. 서론 1. 귀인이론의 의의 하이더에 의해 체계화된 이론으로 귀인이란 관찰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발생하는 행위들을 관찰하여, 그 원인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외부대상을 판단함을 의미한다. 본래 귀인은 ‘어떤 행동의 원인을 어디엔가 귀속 시킨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2. 귀인의 유형 1)내적귀인 내적귀인이란 타인이나 대상의 행위를 능력, 성격, 가치관 등의 행위자의 내부적인 요소로 원인을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2) 외적귀인 외적귀인이란 타인이나 대상의 행위를 상황요인과 같은 행위자 외부적인 요소에 의한 것으로 원인.. 2021. 9. 4.
[2차기출, 경영지도사] 강화이론의 유형과 강화계획 문제2) 강화이론의 유형과 강화계획에 대해 논술하시오. (30점) - 분량 안나옴 Ⅰ. 서론 1. 강화이론의 의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입각하여 등장한 개념인 강화는 행동이 그를 이끄는 자극의 단순한 후행변수가 아니라 행동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즉, 행동이 그 행동의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함수라고 보는 이론적 관점이며 여기서 강화는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제를 의미한다. 2. 강화이론의 중요성 현재 경영환경은 급변화하며 불확실해졌고, 시장과 산업 간 장벽이 무너지며 경쟁의 극심화 되고 있는 만큼 인적자원이 핵심역량으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직은 개인의 동기부여와 학습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한 강화전략을 수립해서 구성.. 2021. 8. 31.
[2차기출, 경영지도사] 인지부조화의 예와 극복방안 문제3) 인지 부조화의 예와 극복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Ⅰ. 서론 1. 인지부조화의 개념 인지부조화는 개인이 가진 두 가지 이상의 태도 혹은 태도와 감정 사이에서의 불일치를 뜻한다. 페스팅거(Festinger)는 인지부조화이론에서 개인의 복수의 태도/행동 간 불일치를 지각하게 되면 불편한 심리를 갖게 되며, 그 결과 불일치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고 주장한다. 2. 인지부조화의 등장배경 태도-행동 간 인과관계에 있어 전통적인 관점에 의하면 태도가 형성된 뒤 행동이 발생한다. 하지만 사람은 종종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태도를 변경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태도와 행동 간의 일관성과 불일치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했다. Ⅱ. 인지부조화의 예시와 극복방안 1. 인지부조화의 예시 가령 .. 2021. 8. 26.
[2차기출, 경영지도사] 관리격자이론의 의의에 대해 설명 문제4) 관리격자이론의 의의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Ⅰ. 관리격자이론의 의의 블레이크(Blake)와 머튼(Mouton)은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구조주도 및 배려 차원을 발전시켜 각각 생산에 대한 관심과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대치하여 각 차원을 9등분하여 리더십 스타일을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Ⅱ. 리더십 스타일 리더십에 대한 관리격자 모델은 리더가 가지고 있는 인간과 생산에 대한 관심의 정도를 각각 9단계로 구분하여 81개 모형을 제시하지만, 대표적 5가지 모델로 리더의 유형을 설명한다. 1) 무관심형(impoverished leader) / (1.1) 인간에 대한 측면, 생산에 대한 측면 모두 낮은 유형으로 불간섭, 자유방임을 신조로 한다. 2) 컨트리클럽형(인기형, country c.. 2021. 8. 22.